기업이 경제적 해자를 구축하는 법 지난 포스팅(2017/11/30 - [주식] - 기업이 경제적 해자를 구축하는 다섯까지 방법-1)에서 기업이 경제적 해자를 구축하는 첫번째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다. 이번 포스팅은 두번 째 방법이다. 기업은 어떤식으로 경제적 해자를 또 구축할까? 이 포스팅은 팻도시의 모닝스타 성공투자 5전략을 참고로 한 것이다. 필자라 즐겨 보는 책이니 1독을 권한다. 2. 인식차원의 제품 차별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인식차원의 제품 차별화 정책이다. 이 정책은 강력한 경제적 해자를 구축한다. 소비자로 하여금 이 브랜드가, 혹은 이 제품이 괜찮다라는 인식을 머리속에 깊이 각인 시키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기업이 아래의 로고를 가진 애플이다. 이제는 애플이라는 단어를 말할 때 사과보다, 아..
기업이 경제적 해자를 구축하는 방법 주식투자를 위해 기업분석을 하면서 가장 놓지 말아야 할 질문은 왜? 이다. 왜 경쟁사들은 이 회사의 고객을 빼앗지 못하는 것일까? 왜 경쟁사는 비슷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더 낮은 가격을 매기지 못하는 것일까? 왜 고객은 연례적 가격 인상을 수용하는 것일까? 이른바 경제적 해자를 구축한 기업에는 다섯가지 특성이 있다고 본다. 위의 내용은 팻도시의 모닝스타 성공투자 5원칙 '경제적 해자' 파트를 발췌 정리한 것이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1독을 권한다. 1.우수한 기술이나 품질을 통해 '실질적인 제품 차별화' 창출 기업이 가장 기본적으로 '경제적 해자'를 구축하는 방법이다. 소비자는 기술적으로 우위를 가진 제품을 선호한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것이 있는 것이 있다. 기술적 ..
자본대비 부채비율로 좋은 회사 고르기 이번에는 자본대비 부채비율로 좋은 회사를 골라내는 법을 살펴보려고 한다. 자본대비 부채비율이 낮은 회사가 상대적 경쟁력이 있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그러면 반대로 자본 대비 부채비율이 낮으면 무조건 경쟁력이 없는 회사일까? 이 부분에 대해서도 생각을 해 볼 필요가 있다. 위 내용은 워렌버핏의 재무제표분석법에 나오는 내용이다. 주식투자방법을 연구하고 계신 분들이나 주식공부 중인 초보투자자들은 일독을 권한다. 1.자기주식을 고려해야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자본 대비 부채비율을 계산할 때는 꼭 자기주식을 고려해야한다. 장기적인 경쟁우위를 가진 기업들의 특징과 연관된 내용이다. 장기적 경쟁우위를 가진 기업들은 사업의 경제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보통은 사업에 많은 자본과 이익잉여..
슈퍼개미 남산주성 이야기 내가 자주 들어가는 가치투자연구소를 만든분이자 한국에서 손꼽히는 레전드 개미투자자인 남산주성 김태석에 대해서 좀 얘기해볼까 한다.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전업투자자를 꿈꾼다. 나도 마찬가지다. 남산주성님도 평범한 회사원(노틸러스효성)에서 두어번의 실패를 맛본 후 1억원의 종잣돈으로 투자를 시작해 성공적으로 불린 후 전업투자자로 전환해 현재는 200억원대의 자산가가 되었다. 그의 일대기를 점검해보자. 1.남산주성 약력 ▶남산주성 김태석 뒤에 걸려있는 겸초손 만수익이라는 글귀가 눈에 들어온다. 1) 1999년 말 주식투자 시작(100만원으로 시작) 2) 2000년 주식투자 3000만원으로 확대 3) 2001년 1차 투자실패 -투자회사 상장폐지(이트로닉스 – 현재 ㈜인켈,..
이익의 원천을 간파하는 4가지 질문 투자의 고전 피터린치의 '월가의 영웅'을 보면 이런 말이 나온다. '이익의 지도를 따라가라.' 이익의 지도를 따라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여기 이익의 원천을 간파하는 4가지 질문이 있다. 이 내용은 야마구치 요헤이의 '현명한 초보투자자'에서 나온 것이다. 관심이 있으신 분은 이 책도 일독을 권한다. 주식투자방법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할 것이다. 1.그 기업은 '무엇에서' 돈을 벌고 있는가? 과거의 실적에 관한 질문이다.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분기보고서나 반기보고서를 통해서 기업이 어떤 사업과 제품군을 통해서 수익을 창출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업과 지역,고객을 확인하여 보면 대부분의 이익은 사실 특정 사업에서 얻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럴때는..
PER,PBR,ROE 세 지표간의 관계 꾸준히 이어가는 주식투자방법에 관한 포스팅이다. 이 포스팅에서는 주식투자자라면 누구나 관심을 가지는 지표인 PER,PBR,ROE의 관계에 대한 얘기를 해보려고 한다.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이라면 이 세가지의 의미에 대해서는 잘 알지만 그 관계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았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보자. 1.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ROE는 자본의 효율을 의미한다. 그 자본을 사용해서 얼마나 이익을 올렸는가 라는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좋은 회사는 ROE가 높은 회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100억의 순자산을 사용해서 연간 10억의 이익을 내고 있는 회사가 있다고 해보자. 이 회사의 ROE는 10%(10억/100억)이 된다. ..
유동비율로 좋은 회사 고르는 법 좋은 기업을 고르는 비밀이 재무제표 안에 들어 있다고 이전의 포스팅에서 언급한 바 있다. 2017/11/14 - [서평] - 워렌버핏의 재무제표 활용법-쉬운책으로 재무제표분석 입문하기 그럼 구체적으로 재무제표를 어떤식으로 분석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볼까 한다. 재무제표는 그 당시의 상황을 딱 스냅샷처럼 보여주는 대차대조표, 분기별 손익을 보여주는 손익계산서, 회사의 현금흐름을 보여주는 현금흐름표가 있다. PER,PBR등의 수치도 동일업종의 회사별로 비교하기도 하고, 주당순수익의 10배를 현재주가와 비교하여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어있는지를 판단하기도 한다. 다양한 방면으로 회사의 가치를 판단해야 하는데 그 중에서 오늘은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를 기준으로 회사를 평가하는 ..
- Total
- Today
- Yesterday
- 워렌버핏의재무제표분석법
- 박시백의조선왕조실록
- 모닝스타성공투자5원칙
- 주식공부
- 책
- 박시백
- 구글애드센스
- 주식투자공부
- 후기
- 야마구치요헤이
- 레시피
- 부산맛집
- 맛집
- 주식투자
- 워렌버핏
- 주식투자실수
- 주식투자방법
- 재무제표공부
- 요리
- 서평
- K380
- 적정주가계산법
- 재무제표분석
- 리뷰
- 팻도시
- 북리뷰
- 현명한초보투자자
- 홈메이드레시피
- 홈메이드
- 경제적해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